■ 방송: YTN 뉴스N이슈
■ 진행: 정찬배 앵커, 장민정 앵커
■ 출연: 최영일 시사평론가, 김태현 변호사
◇앵커] 제주 4.3 사건은 5.18 민주화 운동이나 4.19 혁명보다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젊은 세대들은 잘 모르기도 하는데 어떤 사건이었고 왜 이 사건만 사건이라고 칭하는지 설명을 해 주시죠.
◆인터뷰] 워낙 길었고 복잡하기 때문에 그런데요. 이게 민주화 운동은 아닙니다. 훨씬 더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해방 직후에 벌어진 혼란의 역사인데요. 제주 4.3 사건 이렇게만 부르고 있죠. 47년 3.1에 일이 터집니다. 그런데 45년에 해방되고 나서 제주 도민들이 미군정에 대한 불만이 많았는데 이게 정치적인 이유라기보다 일제 때 부역했던 경찰들이 군정 경찰이 됐어요.
◇앵커] 친일파들이 다시 돌아온 거죠.
◆인터뷰] 친일파들이 공권력을 행사하니까 거기에 대해서 민심이 안 좋았죠. 그러다 47년 3월 1일에 기마 경찰에 의해서 3.1절 행사를 구경하던 어린이가 밟혀서 다치는 일이 벌어집니다.
그러니까 주민들이 화가 나서 돌멩이를 던졌는데 폭동이다라고 판단하고 경찰들이 발포해서 6명이 사망합니다. 이때부터 1년간 민심이 소용돌이치다가 48년 4월 3일 새벽에 이번에는 무장대라고 하는 좌익 청년들이 우익 인사들을 습격하는 일이 벌어져요. 이러면서 좌우 충돌이 벌어지기 시작했고 정부 차원에서 엄혹한 탄압이 시작된 겁니다. 좌익 색출이라는 명목 하에 양민 학살이 굉장히 지속적으로 벌어지는데 54년 9월에야 이 사태가 끝나요.
그러니까 여기에서 무장대라고 이야기하는 좌익청년들이 끝까지 이승만 정권에 저항하는데 이들의 수는 불과 60여 명이었거든요. 그런데 결국은 계속 군대가 가면서 토벌을 한 결과 제주도민들의 10분의 1의 인구 1만 4000명이 공식적으로 사망한 것으로 집계되는데 공식 집계 이외에도 지금까지도 입을 열지 않고 있는 유가족들의 사정들을 우리가 돌아보면 더 많은 희생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앵커] 2만 7000이다, 3만이다 이런 얘기가 있어요.
◆인터뷰] 한 2배 이상 될 것이다라는 추정이 있고요. 그리고 이 과정에서 경찰도 140명, 군인도 180명 전사자들이 나왔고요. 그러니까 이거는 문재인 대통령 말씀처럼 편협한 이념격돌 속에서 죄없는 양민들이 영문도 모르고 죽어간 사건입니다. 굉장히 오랫동안. 이승만 정부 시절...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80403130418489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